국궁입문

국궁입문

활은 수천년 동안 우리 민족을 지켜낸
우수한 무기였던 만큼 배우기
시작할때부터 진지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 시작할때의 마음가짐
    활은 어렸을 때의 장난감 활 처럼 누구나 당겨서 쏠 수가 있는 것 처럼 너무 쉽게 또는 깔보고 접근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은 막상 활쏘기를 배우기 시작 하자마자 좌절하고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활은 수 천년동안 우리민족을 지켜낸 우수한 무기였던 만큼 배우기 시작할때부터 진지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기본자세를 익히고 바른 사법을 배우고 열심히 수련을 해야만이 자기가 겨눈 과녁에 맞힐 수가 있다. 그래서 성실하고 끈기있게 기초 부터 착실하게 배우고 반복해서 연습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국궁는 배우면 배울수록 점점 더 어려운 고비를 넘겨야 하고 그때마다 더욱 더 깊고 오묘한 맛고 멋을 느낄 수가 있는 우리민족 전통 무예이다때문에 국궁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고 국궁의 진미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수련이 요구되는 것이다. 절대로 조급하게 서둘지 말 것이며 잘못을 알게 되면 과감히 고쳐 나갈 것이며 마음을 비우고 교만하지 말아야 한다. 본래 국궁는 몸과 마음이 혼연일체가 되어 무심한 상태에서 활을 쏠 때 비로소 화살이 과녁에 명중하므로 다른 운동에 비해 유난히 정신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따라서 국궁는 신체단련에 앞서 국궁인으로서 같워야 할 마음가짐 즉 정신수양을 통한 참다운 인격 형성을 요구하는 바 이 점은 국궁인이 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수칙인 국궁9계훈(弓道九戒訓)에 잘 나타나 있다

    국궁9계훈(弓道九戒訓)
    - 인애덕행(仁愛德行) : 사랑과 덕행으로 본을 보인다.
    - 성실겸손(誠實謙遜) : 겸손하고 성실하게 행한다.
    - 자중절조(自重節操) : 행실을 신중히 하고 절조를 굳게 지킨다.
    - 예의엄수(禮儀嚴守) : 예의 범절을 엄격히 지킨다.
    - 염직과감(廉直果敢) : 청렴겸직하고 용감하게 행한다.
    - 습사무언(習射無言) : 활을 쏠 때는 침묵을 지킨다.
    - 정심정기(正心正己) : 몸과 마음을 항상 바르게 한다.
    - 불원승자(不怨勝者) :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는다.
    - 막만타궁(莫彎他弓) : 타인의 활을 당기지 않는다.

    사구(射具)
    활과 화살 이외에 활쏘기에 필요한 용구는 각지,궁대,전통등이 있다.
    깍지
    깍지는 쇠물로 만들며 시위를 당길때 엄지에 낀다. 각지의 종류에는 암깍지,숫깍지,덕깍지 등이 있다. 숫깍지는 유혈깍지라고도 하며 뾰족한 뿔이 달리고 덕깍지는 현이 걸리게 되는 위치에 언덕진 것처럼 덕이 있다. 보통 암깍지를 많이 쓰고 있다.
    전통
    화살을 넣어두는 전통은 대나무 오동나무등으로 만든 것이 많고 종이로 만든 것도 있는데 종이로 만든 지제전통을 상품으로 친다. 그 까닭은 습기방지가 잘 되고 가볍기 때문이다. 전통 표면에는 글씨를 쓰던가 소나무나 대나무 그림을 그리기도 하며 호랑이 등을 새기기도 한다. 또 전통의 뚜껑은 용이나 호랑이 머리등으로 조각장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궁대
    궁대는 부린 활을 싸두는 것으로 천으로 긴자루 처럼 만들며 그모양이 전대(錢帶)와 비슷하다. 활을 쏠때 허리에 매고 살을 치는데도 이용된다.
    삼지끈
    보궁이라고도 한다. 얹은 활이 한쪽으로 몰리지 않게 삼지끈을 끼운다. 그리고 활을 쏠때에는 줌손의 하삼지에 끼고 쏜다.
    팔찌
    한복의 넓은 소매를 감아 활을 쏠때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팔지를 두른다.
  • 시작할때의 마음가짐
    사두는 본정에 대표이므로 존경할것이며 구사를 존경 하고 사원간에 친묵 과 화합을 도모한다
    - 사규와 회칙을 준수하고 임원의 지시에 순종하여야한다
    - 사범의 지도를 성실하게 받어야한다
    - 사정에 등정할 때에는 용모와 복장을 단정히 하여 사원 으로서의품위를 유 지하여야한다
    - 사정에 등정하면 정간을 향하여 배례 하여야한다
    - 사대에 나갈때는 사는 상위에 신사는 하위에 각각 정열한다
    - 초시를 낼때는 정중하게 활을 배우겟습니다 라고 상호 인사를 교환 한다음 발 시한다
    - 음주하고 사대에 임하여서는 아니된다
    - 담배를문체 활을 당기거나 사대에서 담배를 피워서는 아니된다
    - 활을 당겨 볼때에는 사람이 있는곳을 피하여 안전한 을 향하여 당겨야한다
    - 사정에서는 정숙 하여야하고 고성으로 소란을 피워서는 아니된다
    - 사대에서는 사수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한 진퇴를 같이 한다
    - 사대 대열이 정돈된후에는 추가 참대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사대에서는 잡담 야유등 저속한 언행을 삼간다
    - 중상 모략 화합을 저해하고 본정의 명예를 훼손 하는 일체의 행위를 엄금한다
    이상의 각항에 수칙을 위반하였을 때는 임원의 의결을 거쳐 해임 제명 경고 자격정지등 상응한 처분을 할 수 있다
  • 활과 몸과마음가짐(삼위일체 三位一體)
    활쏘기는 활과 몸과 마음이 혼연일체가 되어야 한다.
    활을 조작하여 살을 과녁으로 날려 보내기 위해서는 활을 조작하는 기술을 몸으로 익혀야 하고 그 몸이 활을 잘 조작할 수 있도록 마음이 몸을 살피고 몸을 잘 관리해야 한다.

    그래서 활쏘기는 기(技), 체(體), 심(心)이 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활을 배워 정(亭)에 입사(入射)한 신사(新射)일 때는 활을 조작해서 과녁을 맞추는 기술에 집착하게 된다. 그래서 몇 달 안되어 평균 3-4중의 관중율을 기록할 정도로 급속한 발전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 신사가 입단(入段) 시험장에 나가던가 국궁대회장에 출전을 하게 되면 겨우 1-2중을 하던가 불(不)을 쏘게 되는 것을 흔히 볼 수가 있다. 그것은 왜 그런가? 그 신사는 활을 다루는 기술을 익혔지만 몸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마음을 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활쏘기를 어느 정도 숙달하게 되면 활쏘기는 기술만으로는 안되며 마음이 따라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활을 마음으로 당겨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을 때 그 신사는 비로소 국궁인의 문덕 안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활쏘기에 있어서의 마음이란 곧 심기(心氣)이다. 활쏘기에 있어서 몸의 동작은 마음 즉 심기가 따라야 한다. 심기가 따르지 않은 동작은 죽은 동작이다. 생기가 없는 동작으로는 활을 제대로 쏠 수가 없다.

    활(技) 몸(體) 마음(心氣)을 혼연일체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활을 쏘는 기술을 키워 자신감을 갖게 돼야 하고, 둘째 몸의 동작에 마음(심기)를 실어야 한다. 여기서 몸의 동작과 마음(심기)를 향응(響應)케 하는 작용은 어디서 나오는가. 그것은 호 흡과 눈쓰기(眼法)이다.
  • 사법팔전(射法八節)
    활을 쏠때의 자세와 동작을 8단계로 구분해서 가르치는 사법(射法)을 사법팔절이라고 한다. 그 8단계는 발디딤, 몸가짐, 살먹이기, 들어올리기, 밀며당기기, 만작, 발사, 잔신(殘身) 이다. 이 8단계는 토막토막 끊어져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사유수(射流水)라는 말처럼 물이 흐르듯 이 이어지는 일렬의 동작이다.

    01 발디딤

    발디딤은 활을 쏠 때 그 기초가 되는 최초의 발딛는 자세이다. 활쏘기의 토대라고 할 수 있다.
    발디딤의 자세는 옛부터 비정비팔(非丁非八) 즉 丁자도 아니고 八자도 아닌 자세가 올바른 자세로 전해지고 있다. 우궁의 경우 왼발은 과녁 왼쪽 끝을 향하여 바로 딛고 오른발은 발기장의 절반 내지 3분의 2 가량 뒤로 끌어 어깨의 넓이 만큼 벌려 서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것을 만작과 발사를 하게 되었을 때에도 체중이 두발에 고루 실려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자세이다. 우리활은 앞을 보고 쏘는 활이기 때문데 이 같은 발의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두 발의 간격이 넓게 벌어 지면 안정성은 좋으나 몸의 기동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두발이 간격이 좁으면 기동성은 좋으나 안정성이 떨어진다. 때문에 각자에 알맞는 넓이가 자기 어깨의 폭으로 기준하고 있다.

    02 몸가짐

    사단법인 대한국궁문화협회
    몸가짐은 발디딤의 토대위에 몸을 곧게 세우는 것이다. 두다리의 무릅을 펴고 분문을 오무리고 불거름에 힘을 넣고 허리를 펴서 그 위에 상체를 곧게 세우는데 척추와 목덜미를 곧바르게 펴고 온몸의 중심을 허리 중앙에 두어 기력을 단전에 모으는 동작 이다. 이 몸가짐의 자세는 끝까지 흐트러 져서는 안된다. 몸가짐 자세를 근간(根杆) 으로 하여 활쏘기 동작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활을 당겨 만작에서 발사에 이르기까지 이 몸가짐 자세는 앞으로나 뒤로 기울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과녁을 정면으로 보고 선 자세에 변화가 없어야 한다.

    03 살 먹이기

    살먹이기는 이때부터 활쏘기의 동작으로 들어가기 직전의 준비동작이다. 따라서 발디딤과 몸가짐의 기초체형을 유지하면서 호흡을 정리하고 기력을 충실히 하며 동작을 해야 한다. 살 먹이기의 동작에는 활의 줌을 쥐는 동작과 화살을 허리에서 빼 현의 절피에 끼우는 동작 그리고 깍지손을 현에 걸어 쥐는 동작이 포함된다.
    살먹이기를 하면서 유의해야 할 것은 발디딤과 몸가짐으로 이룩된 세로축의 체형 이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살먹이기를 하는 사이 자기도 모르게 허리가 풀려 다음 동작 때부터 엉덩이가 뒤로 나오던가 허리가 돌던가 아주 보기 흉한 병폐가 생길 수도 있다. 살먹이기에서는 깍지손이 절피에 낀 살의 오늬 보다 화살의 부피만큼 아래에 깍지를 걸고 쥘 것이며 반드시 깍지손의 범아귀가 벌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다음 동작 때에 오늬가 빠져 낙전하는 것은 예방할 수가 있다. 이때 줌손과 깍지손을 막론하고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면 다음 동작을 할때 팔과 어깨에도 힘이 들어가 긴장하게 되어 유연한 동작을 할 수 없게 되기가 쉽다.

    04 들어올리기

    활과 화살을 먹여 쥔 좌우 양쪽 손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이다. 세로축을 근간(根杆)으로 한 가로축의 활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화살을 먹여 쥔 양손을 들어 올리는데 양손의 높이는 자기의 이마 보다 약간 높을 정도로 올리며 깍지 손이 줌손 보다 약간 더 올린 기분이 되게 한다. 그러면 들어 올린 활은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 화살이 약간 아래로 향한 모양이 된다. 들어 올릴 때 두 손과 팔은 아주 유연하고 부드러워야 하고 두 어깨는 올라가지 않고 차분하게 가라 앉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들어 올리기를 하면서도 세로축의 체형이 흐트러짐이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들어 올리기는 호흡(기식)에 맞추어 정진이나 몸이 침착하고 늠늠한 기분이된 상태에서 운행되어야 한다. 옛 사법에는 들어 돌리기를 마치 물동이를 이듯이 하라고 했다. 물동이를 들어 모리 위로 사뿐하게 올리던 아낙네으 모습처럼 하라는 것이었다.

    05 밀며 당기기

    들어 올린 활을 앞뒤로 밀며 당겨서 만작에 이르게 될 때 까지의 동작을 밀며 당기기라고 한다.밀며 당기기는 활쏘기 동작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써 밀고 당기기의 잘 잘못은 다음에 이어지는 만작과 발사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집궁제원칙에는 전추태산 (前推泰山)이라고 했는데 줌손을 태산을 받치듯이 밀기 위해서는 깍지손도 그 힘에 균형되게 현을 당겨야 한다. 옛사법에서는 장작을 뻐개듯이 하라고 했으니 바로 앞손과 뒷곤이 균형된 힘을 작용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활을 밀어 당길 때 양쪽 손 끝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 가슴과 등과 어깨와 팔 전체의 근육과 뼈를 이용하며 깍지 손은 현에 걸어둔채 중구미로 당겨야 하고 활을 받친 줌팔의 중구미는 엎어야 한다.

    활을 당길때 세로축의 체형이 흐트러지지 않게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밀며당기는 방법은 들어올린 활을 단숨에 쑥 당겨 만작이 되게 한 방법이 유리하다. 힘을 절약하여 만작을 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천히 당기는 것은 힘의 소모가 많아 만작에서 발사에 이르는 동작을 충분히 할 수가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어떤 이는 들어올리기를 하지 않고 아예 밑에서부터 들어 올리며 밀어 당기기를 해서 만작에 이르게 하는 방법을 쓰는데 이것은 애당초 잘못된 것이다.

    밀며 당기기는 어떤 경우에도 줌손과 깍지손이 높고 낮음이 없이 거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당겨야 하지만 화살은 수평에서 15˚ 내외의 각도로 과녁을 향하게 된다. 과녁거리가 145m로 멀기 때문데 앞을 높여 줄 수 밖에 없는데 가로축의 체형도 화살의 각도와 직선이 되는 상태에서 줌손은 과녁을 향해 밀고 나가고 깍지손은 뒤로 당기게 된다. 밀며 당길 때 깍지손은 이마로부커 뺨을 스쳐 귀 뒤로 지나가며 손목 부위가 어깨 끝 부근에 이르게 될 때 만작이 된다. 이때 줌팔은 과녁의 중심을 향해 밀고 들어가고 가슴과 어깨가 펴면서 만작이 되는데 화살이 입가 부분의 볼에 닿도록 깍지손을 뒤로 당겼을 때 밀고 당기기의 동작은 끝나게 된다. 밀며 당기기를 한 활은 안쪽으로 약 15˚가량 눕는 것이 좋다. 밀며 당기기의 동작은 허리를 중심으로 해서 단전호흡과 더불어 침착하고 넉넉하게 앞뒤 균등한 힘을 작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밀며 당기기에서는 줌손과 깍지손으로 빨래를 짜듯이 비틀어야 하는데 깍지손은 손바닥이 땅과 수평이 되도록 틀고

    06 만작

    만작은 외형상으로는 밀며 당기기의 완성형인 것 같지만 활을 쏘는 국궁인의 입장에서는 밀며 당기기의 무한한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지금까지의 모든 단계는 만작에 이르기 위한 것인즉 만작이야 말로 몸과 마음과 궁시(弓矢)가 혼연일체가 되어 활을 밀어 당기며 발사의 기회를 만들어 내는 활쏘기의 극치라고 하겠다. 만작에서 궁사는 한(限)을 확실히 잡아야하고 겨냥을 하며 발사가 될 때 까지 줌손은 과녁의 겨냥점으로 쭉쭉 밀고 들어가고 깍지손은 엎으면서 가슴은 펴고 어깨죽지는 뒤로 오무리며 더욱 더 중구미를 들고 당겨야 한다. 만작의 시각은 4~6초가 적당한데 이 시간에 겨냥과 굳힘과 정신집중을 동시에 하면서 발사의 기회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겨냥 : 겨냥은 두 눈을 똑바로 뜨고 하지만 우궁은 오른쪽 눈으로 좌궁은 왼쪽눈으로 한다.겨냥의 방법은 원근은 줌손 높이로 정하고 좌우는 살로 과녁을 비추어 보며 정한다. 상하를 정한 가로선과 좌우는 살로 과녁을 비추어 보며 정한다. 상하를 정한 가로선과 좌우를 정한 세로선이 十자로 만나는 점이 겨냥점이 된다.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올 때 또는 연습할 때와 시합 때 평소의 겨냥점과 달라질 때에는 마음먹고 과단성 있게 겨냥점을 옮겨야 한다.

    굳힘 : 만작의 동작에서는 겨냥과 함께 굳힘이 이루어져야 한다. 굳힘은 살을 겨냥점 으로 적중시키기 위한 최후의 확인동작이다. 줌팔은 과녁의 겨냥점으로 쭉쭉 뻗어 들어가고 깍지손의 팔꿈치는 다물이면서 가슴은 더욱더 펴지며 양어깨의 어깨죽지는 뒤로 오무려 죽지끝이 척추 부근에서 맞닿을 정도로 뒤로 무한히 당기는 것이다.가로 축과 세로축이 천지좌우로 무한이 뻗어 나가는 것이다. 이것은 발사때 살에 탄력이 붙어야 적중을 촉진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활과 사람의 골격에는 한계가 있는 것임으로 상하좌우로 한없이 늘어 날 수는 없기 때문에 훈련을 하는 동안에 나름대로의 만작의 위치가 확립되는 것을 자각하게 되는 것이다.

    정신집중 : 만작에 있어서 겨냥과 굳힘과 함께 정신집중이 되어야 한다. 몸과 활과 과녁이 일체(一體)가 되도록 정신통일을 해야 한다. 이 화살이 빗나갈 것인가 맞을 것인가 하고 불안한 생각을 할 때 실수 하기가 쉽다. 마음의 동요나 잡념을 털어 버리 고 만작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의 수련이 필요하다. 연습 때나 시합 때나 항상 정신집중을 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일사 일사 진중하게 쏘는 것이 중요하다. 초보자는 불안, 공포, 빨랐다, 늦었다, 의심, 혼돈 등 잡념이 생기는 것이다. 처음부터 좋은 사범이 옆에서 자세가 잘 될때까지 일정기간 코우치를 하면 궁사는 그것을 곧 극복하게 되고 정신집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될 때 활의 적중율은 물론 사람의 인격형성에도 크나큰 발전이 있게 된다.만작 자세에서 특별히 유념해야 할 점은 턱을 들거나 얼굴을 현쪽으로 쫓아가지 말고 활을 몸으로 끌어 당겨 얼굴에 살이 붙도록 해야 한다.활을 당기면서 몸이 앞이나 뒤로 기울지 않게 해야 한다. 당기는 깍지손의 팔꿈치의 위치는 화살과 수평 이하가 되엇는 안되며 수평보다 높은 듯 해야 좋다. 호흡은 활들어 올릴 때 마시고 밀며 당길 때 멈추면서 아랫배쪽으로 내리밀며 만작 자세로 옮긴다.

국가기관 공인(국가지원) 한국 궁술의 원형복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제작참여단체
2001년 사단법인 한국국궁문화세계화협회 설립

© 2001 사단법인 대한궁술협회